삼신아이플래닛

본문 바로가기

미등록페이지

Infertility information

특수 클리닉

삼신아이플래닛

추가검사

의료기관의 판단에 따라, 가임력 확인을 위한 추가 검사를 시행한 경우
보건소는 지원금액 한도 내에서 추가 지원할 수 있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지원이 불가합니다

  • 01

    필수 검사 항목(AMH 또는 자궁초음파)을 제외하고 기타 검사만 시행한 경우

  • 02

    보건소장이 보기에
    가임력 검사로 보기 어려운 항목

  • 03

    임신 사전 건강관리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의료기관에서 실시한 검사

여성 검사 항목

분류 검사 목적 항목
혈액검사 기본 호르몬 검사 FSH/LH/E2/PRL/TSH
난소 나이 검사 AMH
다낭성 난소 증후군 의심 시 남성호르몬 검사
임신 전 항체 검사 풍진항체 검사
초음파 자궁 내 병변, 자궁내막증, 난소예비능 검사 초음파 검사 (질식, 항문, 3D 포함)
난임 검사 나팔관 소통 검사 자궁 나팔관 조영술(HSG), 초음파 자궁 난관 영상(Hycosy)
감염 검사 성 매개 감염 검사 STD
소변 검사 소변검사

남성 검사 항목

분류 검사 목적 항목
남성 검사 남성 난임 요인 검사 정액검사(정자 정밀 형태 포함), 고환 촉진 검사
혈액 검사 임신 전 항체 검사 풍진항체 검사
감염 검사 성 매개 감염 검사 STD
소변 검사 소변검사

삼신아이플래닛

자궁경

자궁경 검사는 가느다란 카메라(자궁경)를 질을 통해 자궁 안으로 넣어 자궁내막을 직접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자궁내막 용종, 유착, 자궁중격, 미세한 염증 등 초음파로는 확인이 어려운 이상 소견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필요 시 동시에 치료까지 가능합니다.

  • 01

    자궁내막 용종 의심

  • 02

    반복 유산 또는 착상 실패 병력

  • 03

    자궁내 유착, 기형 의심

  • 04

    생리과다 또는 생리통 심한 경우

삼신아이플래닛

PGT

시험관 시술(IVF) 과정에서 생성된 배아를 자궁에 이식하기 전에 배아의 유전적 이상 여부를 미리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건강한 배아만을 선별해 이식함으로써 착상률을 높이고, 유산 위험을 줄이며, 건강한 출산 가능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 01

    PGT-A: 염색체 수 이상
    (예: 다운증후군 등)

  • 02

    PGT-SR: 염색체 구조 이상
    (전좌, 역위 등)

  • 03

    PGT-M: 특정 유전질환 보인자
    (ex. 근이영양증, 낭포성섬유증 등)

PGT 권장 경우

  • 01

    고령(만 38세 이상)

  • 02

    반복 유산 또는 반복 착상 실패

  • 03

    가족력 있는 유전질환

  • 04

    남성 심한 정자 이상 (기형정자율 높음, 정자 DNA 손상 등)

삼신아이플래닛

반복 착상 실패 검사

착상 실패와 유산은 모두 ‘임신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 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착상은 되었지만 자리를 잡지 못하거나, 착상조차 어려운 경우 모두
그 원인이 자궁 내 환경, 면역 이상, 염색체 문제, 유전자 손상 등에서 겹치기 때문에 검사 항목이 유사합니다.

삼신아이플래닛

습관성 유산(RPL)

임신 20주 이전에 3회 이상 자연유산이 반복되는 경우로 전체 임신의 0.3%에 해당됩니다. 그러나 자연유산 이후에라도 산모연령 35세 이후, 난임불임 가능성 등의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 습관성 유산의 가능성을 배재 할 수는 없습니다.

습관성 유산의 진단

부모의 염색체 검사, 자궁난관 촬영 및 자궁경과 복강경 검사, 착상기 내막 검사, 갑상선기능검사, 항인지질항체 검사, 루푸스 항응고항체검사 등의 검사를 시행합니다.

습관성 유산의 치료

시험관 아기시술은 배란유도 및 검사, 난자채취 및 정자 채취, 수정과 배양, 배아이식, 임신확인의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염색체 이상요인

부모의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태아의 염색체 이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임신초기 유산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주로 염색체의 전좌 (translocation: 두 개 이상의 염색체에서 각각 절단이 일어났다가 다시 다른 염색체들과 결합하여 새로운 염색체를 형성하는 것)가 흔하게 나타나고, 이는 습관성 유산을 보이는 약 6%의 부모(엄마 혹은 아빠)에서 발견됩니다. 부모의 염색체가 정상인 경우에도 엄마의 나이가 35세 이상인 경우 태아의 염색체 이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주로 비분리현상 (non-disjunction: 감수분열 과정에서 염색체 분열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으로 인한 다운증후군 등의 상염색체 수 이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진단 :

부부의 염색체 검사 및 유산된 태아의 염색체 검사

치료 :

유전상담 및 착상 전 유전 검사

자궁요인

자궁 기형 및 자궁 내 유착으로 인한 것으로 유산의 원인 중 15-25% 를 차지합니다. 이외에도 자궁 근종, 자궁경부 무력증 등이 유산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진단 :

초음파, 자궁경 및 진단적 복강경 수술

치료 :

수술을 통한 기형 및 이상 교정

감염요인

TORCH (톡소플라스마, 홍역, 거세포바이러스, 헤르페스) 등 태아에 기형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나 chlamydia, ureaplasma 등의 균에 의해 유산이 반복될 수 있으며 진단을 통한 적절한 항생제, 항바이러스 치료가 필요 할 수 있습니다.

내분비학적 요인

배란 후 임신초기 까지 적절한 황체호르몬의 분비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 황체기 결함이 일어 날 수 있으며 황체기 결함 외에 당뇨, 갑상선 질환 등도 습관성 유산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진단 :

생리 2-3일째 기본 호르몬 측정 및 기본 피검사, 황체기 황체 호르몬의 측정

치료 :

수술을 통한 기형 및 이상 교정

면역학적 요인

전체 유산의 약 50%의 원인에 해당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원인불명의 유산도 약 80%는 면역학적인 요인이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크게 자가항체에 의한 면역이상과 동종 면역이상으로 분류되며 유산과 관련된 자가 항체를 검출하거나 동종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및 사이토카인을 검출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면역학적 요인에서 혈관 내 응고가 문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치료는 주로 항응고제인 아스피린과 헤파린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최근에는 면역글로불린 치료도 시행되고 있습니다.

원인불명 요인

전체 유산의 약 50%의 원인에 해당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원인불명의 유산도 약 80%는 면역학적인 요인이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크게 자가항체에 의한 면역이상과 동종 면역이상으로 분류되며 유산과 관련된 자가 항체를 검출하거나 동종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및 사이토카인을 검출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면역학적 요인에서 혈관 내 응고가 문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치료는 주로 항응고제인 아스피린과 헤파린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최근에는 면역글로불린 치료도 시행되고 있습니다.

삼신아이플래닛

ERA

자궁내막의 착상 가능 시기를 유전자 수준에서 분석하는 검사입니다.
같은 배아라도, 착상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임신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개인마다 다른 ‘착상창(implantation window)’을 정확히 찾아
배아이식의 최적 시점을 알려주는 과학적인 가이드 입니다.

  • 01

    모의 배아이식 주기(Mock cycle)를 통해
    자궁내막을 준비합니다.

  • 02

    프로게스테론 투여 후 정해진 시간에
    자궁내막 조직을 소량 채취합니다

  • 03

    채취된 조직에서 착상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패턴을 분석합니다

  • 04

    자궁 내막의 착상창이 적절한 시기인지,
    혹은 조정이 필요한지를 확인합니다

삼신아이플래닛

ORA

피검사만으로 착상 시기를 예측하는 비침습적 자궁내막 수용성 검사입니다.
기존 ERA처럼 자궁내막을 생검하지 않아도, 혈액 속 microRNA를 분석해 이식 타이밍을 과학적으로 맞출 수 있습니다.

  • 01

    모의 배아이식 주기(Mock cycle)를 통해
    자궁내막을 준비합니다.

  • 02

    프로게스테론 투여 후 정해진 시간에
    자궁내막 조직을 소량 채취합니다

  • 03

    채취된 조직에서 착상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패턴을 분석합니다

  • 04

    자궁 내막의 착상창이 적절한 시기인지,
    혹은 조정이 필요한지를 확인합니다

ORA의 장점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추가적인 정밀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01

    자궁내막 생검 없이
    간단한 혈액검사만으로 착상창 확인

  • 02

    반복 착상 실패 환자, 고령,
    자궁내막 문제 환자에게 권장

  • 03

    검사 정확도 95%

게시판 전체검색